청년도약계좌
최대 198만원 정부지원
연 최대 9.5% 이자 혜택!
청년도약계좌
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접수
상시 모집 중 🏦
🌱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직접 기여금을 더해주는 장기 저축형 적금 제도입니다.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 가능, 정부가 매칭 형태로 최대 198만 원까지 추가 지원, 5년 후 만기 시 전액 비과세 + 고금리 수익까지 받을 수 있어 청년층 재테크 입문용 상품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
✅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
• 나이: 가입일 기준 만 19세 ~ 만 34세 이하 청년
• 소득: 연 소득 7,500만 원 이하
• 가구 소득: 중위소득 180% 이하 (가구 단위 건강보험료 기준)
• 재산 기준: 총 자산 3억 8천만 원 이하
• 기타 요건: 근로·사업소득 보유자 / 병역이행자는 이행 기간만큼 연령 상한 연장
💰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 및 은행
🖥️ 가입 방법
• 사전 준비: 공동인증서, 본인 명의 휴대폰
• 신청 방법: 청년도약계좌 공식 홈페이지 또는 각 은행 앱 접속 → 청년도약계좌 메뉴 선택
• 진행 절차: 본인 인증 → 자격 요건 입력 및 서류 제출 → 심사 완료 후 승인 → 계좌 개설 및 자동이체 설정
🏦 주요 금융기관
• 국민은행, 하나은행, 신한은행, 농협은행, 우리은행, IBK기업은행, 카카오뱅크, 토스뱅크
• 은행별로 금리, 우대 조건, 이벤트가 다르니 반드시 비교 후 가입
📌 해지 시 유의사항
• 중도 해지 시: 정부 기여금 전액 환수 + 비과세 혜택 상실
• 단, 3년 이상 유지하면 일부 혜택 유지 가능
• 6개월 연속 미납 시 자동 해지
• 1개월에 2회 이상 납입은 불가 (매월 1회 납입만 가능)
📋 2025년 청년도약계좌 주요 변경 사항
✔ 정부 기여금 상향
• 최대 월 3.3만 원까지 지원,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
• 연평균 최대 9.5% 수준의 수익률 효과
✔ 3년 이상 유지 시 부분 혜택 보장
• 5년 만기 시: 정부 기여금 100% + 이자 전액 비과세
•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 해지 시: 기여금의 60% 지급 + 비과세 유지
✔ 신용점수 가점 부여
• 2년 이상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→ KCB·NICE 신용점수 10점 이상 상승 가능
✔ 부부분할출금 기능 도입
• 2년 이상 유지 시 부부가 각각 50:50로 분할 출금 가능
• 이혼 시에도 자산 분할 보호 혜택 적용